티스토리 뷰
청년안심주택 임대보증금 지원, 신청 절차와 주의사항 확인하기
뉴스브런치 2025. 6. 21. 10:30
청년안심주택 임대보증금 지원 제도는 청년과 신혼부부가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마련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최근 임대료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많은 청년들에게 이 제도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합니다. 오늘은 이 지원 제도의 세부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안심주택 임대보증금 지원은 청년층과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목표로 하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은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에 신규 입주 예정인 청년과 신혼부부입니다. 이들은 소득과 자산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2024년 3월 1일 이후 접수자부터 새로운 기준이 적용됩니다.

지원 내용
지원 내용은 임차보증금에 대한 무이자 지원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첫 번째로, 임차보증금이 1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보증금의 30%가 지원됩니다. 청년은 최대 4,500만원, 신혼부부는 최대 6,0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임차보증금이 1억원 이하일 경우, 보증금의 50%가 지원되며, 청년과 신혼부부 모두 최대 4,500만원까지 지원됩니다. 이는 청년안심주택 임대보증금 지원 제도의 핵심이자,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신청 절차 및 유의사항
청년안심주택 임대보증금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첫 번째로,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한 후, 청년안심주택 종합지원센터를 방문하여 지원 신청을 해야 합니다. 신청자는 소득 및 자산 심사를 거쳐야 하며, 심사 통과 후 임대보증금 지원 약정서를 체결합니다. 마지막으로, SH가 지원금을 임대인의 계좌로 입금하게 됩니다.

신청 시 유의해야 할 점은 서울시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사업과는 중복 신청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타 금융기관의 전세자금 대출과는 중복 신청이 가능하므로, 이 점을 잘 고려해야 합니다.

지원 기준
소득 기준은 청년의 경우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 즉 약 3,482,964원 이하입니다. 신혼부부는 소득 합계가 120% 이하로, 2인 가구의 경우 약 6,498,854원, 3인 가구는 약 8,638,379원 이하의 소득이 필요합니다. 자산 기준 또한 존재하는데, 청년은 총 자산 2억 7,300만원 이하, 신혼부부는 3억 4,500만원 이하의 자산을 보유해야 합니다.

아래는 지원 기준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소득 기준 |
자산 기준 |
청년 |
3,482,964원 이하 |
2억 7,300만원 이하 |
신혼부부 |
6,498,854원 이하 (2인) |
3억 4,500만원 이하 |
3인 가구 |
8,638,379원 이하 |
- |
청년안심주택 임대보증금 지원 제도는 청년과 신혼부부가 경제적으로 안정된 주거 환경을 마련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를 통해 주거비 부담을 덜고, 안정적인 주거 생활을 영위하시길 바랍니다. 지원 제도를 최대한 활용하여 여러분의 주거 안정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