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4년 4대보험계산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요율 이해하기
뉴스브런치 2024. 1. 21. 20:20
2024년 4대 보험 요율과 계산 방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안내합니다. 4대 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되며 국민의 소득 감소나 활동 능력 상실 시 보험을 통해 보장하는 중요한 사회보장 제도입니다. 각 보험의 요율과 계산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요율
- 근로자 부담: 4.50%
- 사업주 부담: 4.50%
- 요율 전체: 9.0%
- 최저 월 소득: 37만 원
- 최고 월 소득: 590만 원
- 2024년 인상 여부 미확정
건강보험료 요율
- 근로자 부담: 3.545%
- 사업주 부담: 3.545%
- 요율 전체: 7.09%
- 장기 요양 보험료: 건강보험료의 12.95%
고용보험료 요율
- 실업급여: 0.9%
- 근로자 부담: 다양한 업종에 따라 다름 (0.25%~0.85%)
산재보험료 요율
- 사업주 부담: 100%
- 업종에 따라 다른 보험료율 적용
보험료 계산 방법
- 국민 연금 보험료는 월 소득에 기반하여 계산되며, 최저 월 소득부터 최고 월 소득까지의 범위에 따라 부담률이 결정됩니다.
- 건강 보험료는 보수 월액에 보험요율을 곱한 금액으로 장기 요양 보험료를 포함합니다.
- 고용 보험료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다양한 부담률을 가지며, 사업장의 규모와 업종에 따라 부담액이 다릅니다.
- 산재 보험료는 업종에 따라 다른 보험료율이 적용되며, 근로자는 산재 보험료를 부담하지 않습니다.
2024년 4대 보험 요율은 국민의 소득과 안녕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제도로,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의 보험료를 계산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해당 보험기관이나 정부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4년 4대 보험 요율을 이해하고 자신의 보험료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개인 재정 건강을 지키는데 중요합니다. 각 보험의 요율과 계산 방법을 숙지하고, 소득에 맞게 보험료를 납부하여 안정적인 미래를 준비합시다.
구분 |
근로자 요율 |
사업주 요율 |
요율 전체 |
비고 |
국민연금 |
4.50% |
4.50% |
9.0% |
발표 전 |
건강보험 |
3.545% |
3.545% |
7.09% |
동결 |
장기요양보험(건강보험료 * 요율) |
건강보험료의 12.95% |
건강보험료의 12.95% |
0.14% 인 |
|
고용보험 |
0.9% |
0.9% |
1.8% |
실업급여 |
0.25%~0.85% |
직업능력개발사업고용안정 |
|||
산재보험 |
100% |
미정(12월말) |
보험요율 |
근로자 |
사업주 |
실업급여 |
0.9% |
0.9 |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사업 |
150인 미만 기업 |
|
150인 이상 우선 자원 대상 기업 |
0.45% |
|
150인 이상~1000인 미만 기업 |
0.65% |
|
1000인 이상 기업, 국가 지방자치 단체 |
0.85% |
업종 |
보험요율 |
업종 |
보험요율 |
광업 |
5.8%~18.6% |
임업 |
5.9% |
제조업 |
0.7%~2.5% |
어업 |
2.9% |
전기 가스,상수도 업 |
0.9% |
농업 |
2.1% |
건설업 |
3.7% |
기타의 사업 |
0.7%~1.0% |
운수, 창고, 통신업 |
0.9%~1.9% |
금융 및 보험업 |
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