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4년 연말정산 기부금, 기부 종류별 세액공제 혜택 확인하기
뉴스브런치 2025. 4. 1. 11:26
2024년 연말정산을 준비하면서 기부금 세액공제 혜택을 적극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기부금 종류에 따라 공제율과 한도가 다르므로, 기부를 통해 절세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각 기부금의 세액공제 조건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4년 연말정산에서 기부금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방법과 절세 팁을 자세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024년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공제란?
기부금 세액공제는 기부자가 사회에 기여한 금액에 대해 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세금을 절감하면서 동시에 의미 있는 기부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부한 금액과 기부처에 따라 공제율과 한도가 달라지므로, 기부 전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기부금의 종류별로 세액공제 혜택이 상이하며, 본인뿐만 아니라 부양가족이 기부한 금액도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60세 미만의 소득이 없는 부모님이나 대학생 자녀도 기부금을 통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점도 알아두세요.
2024년 연말정산 기부금 종류와 세액공제 혜택
정치자금 기부금
정치자금 기부금은 정당, 정치인 후원회, 선거관리위원회 등에 기부한 금액을 말합니다. 이 기부금은 매우 높은 공제율을 제공합니다.
- 세액공제 한도: 근로소득금액 전체
- 공제율:
- 10만 원까지: 100% 공제
- 10만 원 초과 ~ 3천만 원 이하: 15% 공제
- 3천만 원 초과: 25% 공제
예시로, 4천만 원을 기부한 경우에는 7,085,000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고향사랑 기부금
고향사랑 기부금은 자신이 태어나거나 인연이 깊은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하는 제도입니다. 기부 한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어, 올해부터는 연간 500만 원까지 기부가 가능하고, 내년부터는 한도가 2,000만 원으로 늘어날 예정입니다.

- 세액공제율:
- 10만 원까지: 100% 공제
- 10만 원 초과: 16.5% 공제
- 답례품: 기부한 금액의 30% 이내에서 지역 특산물 등 답례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0만 원을 기부하면 133,000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기부금
일반기부금은 종교단체나 사회복지, 문화예술, 교육 기관 등에 기부한 금액에 대해 적용됩니다. 종교단체 기부금은 다른 기부금과는 다르게 세액공제율이 낮습니다.
- 세액공제율:
- 1천만 원 이하: 15%
- 1천만 원 초과 ~ 3천만 원 이하: 30%
- 3천만 원 초과: 40%
기부 금액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지므로, 기부 전 공제 혜택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원봉사 기부금
자원봉사 활동도 세액공제의 대상이 됩니다. 봉사 시간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자원봉사 활동을 활발히 하는 분들에게도 좋은 혜택이 될 수 있습니다.

- 봉사 시간의 금액 계산: 봉사 일수 × 5만 원
자원봉사 활동으로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므로, 봉사 활동에 참여한 경우 이를 잘 계산하여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2024년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공제 활용 방법
기부금 영수증 보관
기부금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반드시 기부금 영수증을 보관해야 합니다. 전자 기부의 경우, 온라인 영수증을 잘 관리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부금 한도 확인
자신의 연간 근로소득 금액을 기준으로 기부할 수 있는 한도를 확인하고,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한도를 초과하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다양한 기부금 유형 활용
정치자금, 고향사랑 기부금, 일반기부금 등 다양한 기부 항목을 활용하여 세액공제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여러 기부금 종류를 조합해 기부하면 더 많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원봉사 시간 활용
자원봉사 활동도 세액공제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봉사 시간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세액공제 혜택을 챙기세요.
2024년 연말정산에서 기부금 세액공제를 잘 활용하면, 세금을 줄이면서 사회에 기여하는 의미 있는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기부금 종류와 세액공제율, 한도를 정확히 이해하고 기부를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부금 영수증을 잘 보관하고 연말정산 시 빠짐없이 제출하여 세액공제를 받는 것을 잊지 마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