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고용보험 실업급여 조건 요약정리
뉴스브런치 2022. 7. 11. 23:04
고용보험 실업급여 조건 요약정리
퇴사를 하게 된다면 실업급여는 정말 큰 힘이 될 수 있어요. 그러나 퇴사를 한다고 하여서 누구나 실업급여를 받아 볼수가 있는것은 아닌데요. 특정 조건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고용보험 실업급여 조건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할게요. 조건들과 함께 신청을 하는방법 절차에 대하여도 안내를 해볼게요.
먼저 고용보험에서 정의되어져있는 고용보험 실업급여에 대한 안내가 나오실겁니다. 실업에 대한 위로금이 아니라고 명시가 되어져 있는데요.
실업으로 인한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해주는 제도라고 안내가 되어있어요. 자그럼 조건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도록 할게요.
가장 큰 조건은 바로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단위기간 통산 180일 이상이어야 한다고 되어있죠. 대부분의 회사에 서는 4대사회보험에 의무가입을 하게 되어져있기도한데요. 그리고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보여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또 매우중요하였던게 있기도 한데 비자발적으로 퇴사를 하셨어야 합니다.
비자발적으로 퇴사를 했다라고 하면 해고만 해당이 되어 지는것이 아니에요. 위에 보여지는것처럼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가 있습니다. 위에 해당이 되어지게 되어 지게된 다면 비자발적 퇴사로 볼수가 있습니다.
다음은 신청을 해보시는 방법에 대한 정리내용이에요. 실업급여의 수급기간은 퇴사날로부터 12개월 이내여야해요. 먼저 워크넷에 구직등록을 해주신 후에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하시고 상담을 받으셔야해요. 상담 이후에는 안내를 해주시는데로 진행을 해주면 되겠죠.
또한 실업급여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도 계실 겁니다. 기본적으로 퇴직전 평균임금의 50%를 소정급여일수만큼 받아 줄수가 있습니다. 소정급여일수는 연령과 가입기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데요. 오늘은 고용보험 실업급여 조건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오늘 안내한 소개 도움이 되셨길 바랄게요.